블로그
성공적 투자를 위하여 어비스가 제공해드리는 특별한 소식들을 만나보세요.
#데이브리핑
3/18 어비스데이브리핑
2025.03.18
1 대미 무역 적자에 따른 관세 압박 강화
- 미국 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대해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
- 2024년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557억 달러로 미국의 8번째 적자 교역국.
- 미국은 무역장벽 철폐를 촉구하고 있어 향후 관세정책에 따른 한국 수출기업에 부정적 영향 우려.
영향: 향후 한국 수출기업(특히 자동차, 반도체)에 타격 가능성. 한미 무역관계 긴장 고조될 우려.
미 증시 현황
지수 | 등락률 | 비고 |
---|---|---|
다우존스 | +0.85% | 경기둔화 우려 속 매수세 유입 |
S&P500 | +0.64% | 기술·소매주 중심 상승세 |
나스닥 | +0.31% | 기술주 중심으로 소폭 상승 |
러셀2000 | +1.19% | 중소형주 강한 반등 |
- 증시 전반적으로 반등하며 투자심리 일부 회복, 경기둔화 우려는 지속됨.
- 테슬라(-4.8%), 엔비디아(-1.8%) 등 일부 기술주는 부정적 이슈로 하락.
2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 미국 트럼프 행정부, 후티 반군(예멘)의 공격 배후로 이란 지목.
- 후티의 지속적 대미 공격 시 이란에 강력 대응 경고, 군사적 긴장 고조.
- 미군의 무력 사용 가능성 높아지며 국제유가, 금 등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
영향: 국제 유가 상승 가능성 증가.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되며 안전자산(금) 수요 증가할 것으로 예상.
3 OECD, 한국 성장률 하향조정
- 한국의 2025년 경제 성장률 전망을 기존 2.1%에서 1.5%로 하향 조정.
- 미국의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증가 반영.
- 다만, 2026년 성장률은 2.2%로 소폭 상향 전망.
영향: 투자심리 위축 가능성 있으며, 한국 정부의 추가 부양책 필요성 제기.
4 미국,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
- 미국 에너지부,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 등 민감정보 유출 시도 사례를 이유로 한국을 민감국가 지정.
- FBI, 국토안보국 등 관련 기관 조사 진행 중.
- 한국 연구기관·기업의 미국 내 민감기술 접근 어려워질 가능성.
영향: 한국 원자력·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의 미국 시장 진출과 협력에 제약 발생 가능.
5. 향후 주요 거시경제 일정
날짜 | 국가 | 주요 일정 |
---|---|---|
3월 19일 | 미국 | 연준(FOMC) 금리 결정 및 경제 전망 발표 |
4월 2일 | 미국 | 한국 등 주요 무역국 대상 상호관세 발표 예정 |
4월 2일 | 한국 |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
4월 4일 | 미국 | 3월 고용보고서 발표(비농업부문 고용·실업률) |
4월 9일 | 한국 | 3월 고용동향 발표(실업률·취업자 수 등) |
4월 10일 | 미국 |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
4월 11일 | 미국 | 주요 금융기업(씨티, JP모건 등) 1분기 실적발표 시작 |
4월 17일 | 한국 |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결정 |
4월 중순 | 글로벌 | IMF·OECD 경제전망 보고서 발표 |
4월 30일 | 미국 | 2025년 1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 발표 |
4월 30일 | 한국 | 2025년 1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 발표 |
5월 6~7일 | 미국 | 연준(FOMC) 금리 결정 |
5월 29일 | 한국 | 한국은행 임시 금통위(필요 시 개최) |
6월 초 | 글로벌 | OECD 중간경제전망 업데이트 보고서 |
6. 비트코인
82300까지 하락 후 반등, 84700까지 상승 후 횡보중, 테슬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 82000선과 85000선을 뚫느냐가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