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성공적 투자를 위하여 어비스가 제공해드리는 특별한 소식들을 만나보세요.
#미국,# 수익환수,# 반도체
미국의 수익환수 조치 | 어비스 데이브리핑
2025.08.12
📰 오늘의 시장 브리핑 — AI칩, 수익도 기술도 미국 손에!
🔍 핵심 관계도
트럼프 → 엔비디아 중국 수출 허용 ↔ 매출 15% 미국 환수
미국 정부 → 기술 통제 + 수익 회수 → 글로벌 반도체 전략 변화
중국 ↔ 보복·자체 반도체 육성 가속
1. 트럼프의 새로운 룰 — “수출은 해주지만, 매출은 내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을 허용하는 대신,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조건을 붙였습니다.
- 당초 요구는 20%였으나 협상 끝에 15%로 합의
- 주가는 소폭 하락했지만, 중국 판매 재개 자체는 장기적으로 긍정 평가
- 해당 조치는 **구형 AI칩(H20)**에만 해당, 최신 블랙웰 칩은 여전히 수출 제한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가 블랙웰 칩의 성능을 30~50% 낮춘 버전이라면 수출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한 부분입니다.
즉, 기술 격차 유지 + 글로벌 매출 일부 회수라는 이중 전략이 본격화된 셈이죠.
2. 미국 정부, ‘관세’를 넘어 ‘수익’까지 통제
이번 사례는 단순히 수익 일부 포기의 문제가 아닙니다.
- 미국 정부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직접 통제하는 새로운 선례
- 앞으로는 관세뿐 아니라, 특정 기업 해외 매출 환수도 가능하다는 신호
- 다른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도 사업 전략을 근본적으로 수정해야 할 가능성↑
3. 중국의 반발과 향후 시나리오
중국은 이를 “기술+수익 통제”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 중입니다.
예상되는 후속 흐름:
- 보복 조치 가능성
- 자체 반도체 육성 정책 가속화
-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심화
4. 그 외 주요 이슈
- 워싱턴DC 치안·노숙자 문제
트럼프, 연방정부 직접 통제 및 강경 대응 예고 → 정치적 불확실성 부각 - 미중 관세 휴전 90일 연장
협상 시간 벌었으나 불확실성은 여전 - 미국 제철소 폭발
공급망 리스크 재부각, 철강 가격 변동성 가능성 - 지정학 리스크 지속
남중국해 중국 함정 충돌, 가자지구 긴장 등
5. 투자자 시사점
이번 주는 미국 정부의 전방위 통제 신호, 미중 기술전쟁의 새로운 국면,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꺼번에 맞물린 시기였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 반도체 섹터: 기술·수익 규제 가능성 반영 필요
- 수출 비중 높은 기업: 정책 리스크 관리 필수
- 글로벌 공급망 종속도 높은 종목: 분산 전략 고려
💡 결론
이번 엔비디아 사례는 ‘미국이 기술패권을 지키는 방식’이 한 단계 진화했음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수출을 막는 것이 아니라, 성능 조절 + 수익 환수라는 새로운 패턴이 등장했고,
이 흐름은 향후 반도체뿐만 아니라 다른 전략산업에도 확산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