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여러 후기를 통해 어비스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만나보세요.

#밈코인,#트럼프

어비스픽 - 트럼프코인으로 500만원

2025.01.25

이번에 트럼프코인으로 확실히 밈코인은 위험한 것 같습니다. 

트럼프라는 세계최강 대통령이 밈코인을 만들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올랐다가 트럼프 취임식이 끝난 이후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를 볼 수 있습니다. 

 

고점대비 무려 65%나 빠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밈코인을 살 때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바로 본인 시드의 1/20 또는 1/30으로 굉장히 적게 들어가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물을 탈 때도 굉장히 보수적으로 내가 보통 10%에서 물을 타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20%에서 물을 타는 식으로 접근하는게 좋습니다. 

 

 

저 또한 욕심을 부리지 않고 약 3400달러(약 500만원) 의 수익을 낸 모습입니다. 

 

물론 처음 트럼프 코인이 나왔을 때 몰빵했다면 많이 먹을 수 있었겠지만... 조심스레 접근해봤습니다. :)

 

그렇다면 밈코인은 왜 무서운걸까요?  

밈코인은 주로 온라인 커뮤니티나 유명인의 SNS 발언 등에 의해 급등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일론 머스크가 도지코인을 언급할 때마다 가격이 크게 출렁였죠. 하지만 이런 방식의 가격 변동은 투기성이 강하고 예측이 어렵습니다. 

 

특히, 밈코인은 전통적인 금융 자산과 달리 실질적인 사용 사례가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큰 위험 요소로 꼽힙니다.

 

많은 밈코인이 기술적 혁신 없이 유행에 따라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이 코인이 정말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려운 것도 문제죠.

또한, 시가총액이 작은 밈코인의 경우 대규모 투자자의 '펌프 앤 덤프' 전략에 휘말릴 가능성도 큽니다.

시장에 대량 매물이 쏟아지면 개인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규제 리스크도 간과할 수 없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비롯한 주요 금융당국이 밈코인을 증권으로 간주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규제가 강화된다면 주요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될 위험도 있구요.

밈코인의 투자 매력은 단기적인 수익을 노리는 데 있지만, 변동성이 너무 커서 자산을 지키기가 어려운 점이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당한 재미로 소액만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좀 더 말씀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밈코인(Meme Coin)은 특정 밈(인터넷 유행)이나 커뮤니티 문화에서 시작된 암호화폐로, 도지코인(Dogecoin), 시바이누(Shiba Inu) 등이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밈코인을 투자 대상으로 삼는 것은 몇 가지 심각한 위험을 동반합니다.

 

1. 기본적인 가치 부족

  • 밈코인은 실질적인 기술적 혁신이나 유용성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통적인 주식이나 블록체인 프로젝트 기반의 코인(예: 이더리움, 솔라나)과 달리 내재 가치가 부족하여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불확실합니다.

 

2. 극도의 변동성

  • 밈코인은 시장의 감정 변화, 유명인의 언급(예: 일론 머스크 트윗) 등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합니다.
  • 시가총액이 낮거나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 시장 조작(펌프앤덤프)에 취약합니다.

 

3. 커뮤니티 의존성

  • 특정 커뮤니티(레딧, 트위터, 디스코드)의 분위기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며, FOMO(포모, 놓치고 싶지 않은 심리)를 유발해 투기적 거래를 조장합니다.
  • 커뮤니티 관심이 줄어들면 가격이 급락할 위험이 큽니다.

 

4. 유동성 부족 및 대량 매도 리스크

  • 초기 투자자나 내부자가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시장에 대량 매도 시 급격한 하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이 작고 거래량이 적어 대량 투자 시 빠져나오는 것이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