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성공적 투자를 위하여 어비스가 제공해드리는 특별한 소식들을 만나보세요.

#부동산

6억까지 대출? 이재명의 파격적인 부동산정책 분석

2025.06.28

이번 25년 6월 27일, 부동산 대출 - 주담대를 6억까지 한다는 소식에 화들짝 놀란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이걸 한번 어비스가 정리해보겠습니다. 

 

아니 갑자기 이런걸 발표한다니요...

먼저 이재명의 부동산 정책을 이번 주담대 상한과 함께 전체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재명의 부동산 정책 핵심 

1. 공급 확대 중심

  •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유휴부지 활용,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등으로 주택 공급을 늘리는 데 집중 (hankyung.com).
  • 정치적 부담 때문에 “세금으로 집값 잡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던지며 공급 중심 접근을 강조 (hankyung.com).

2. 대출 규제 강화 (초강력 핀셋 정책)

  • 6월 27일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으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 원으로 일괄 제한 (eroun.net).
  •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추가 대출 불가, 1주택자도 6개월 내 처분 의무 (eroun.net).
  • 전세·신용대출도 보증비율 및 한도 축소 조치 포함 (eroun.net).

3. 양극화 해소 및 실수요자 보호

  • 서울 핵심 지역(강남 3구 등)은 가격 상승, 지방은 침체—과도한 양극화 상태 발생 (hankyung.com).
  • 고소득·다주택자를 중심으로 한 대출 억제에 목적을 두고, 실수요자 금융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설정 (eroun.net).

4. 세금 대신 공급과 금융으로 접근

  • 보유세 강화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 대신 “시장 원리 기반 공급 확대” 방식을 택함 .
  • 전문가들은 “세제 강화 포기”를 우려하지만, 정부는 공급과 금융 규제로 방향 설정 (hankyung.com).

 

이렇게 4가지로 나눠져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종합 분석

강점위험 요인
공급 확대 중심으로 정치적인 부담은 낮추고 실질적 주택 여건 개선 기대“세금으로 잡지 않는다” 메시지가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음
대출 억제를 통해 고위험 투자 수요 차단 가능공급 확대는 단기 효과 제한, 시간 지연으로 시장 기대 불확실
실수요자 중심 정책, 지방 미분양 해소 방향에도 기여 가능서울과 지방 간 양극화 심화 우려

📍 결론적으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공급 확대 + 금융 규제를 축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는 정책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투기 수요를 직접 제어하려는 전략입니다. 그러나 공급 확대의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만큼, 시장 기대와 심리 관리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6월 27일 정책을 좀 더 분석해보죠. 이 정책은  

최근 들어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급증한 데 따른 대응책입니다. 구체적 이유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금리 인하로 인해 대출 수요가 증가
    • 한국은행 기준금리 3.5%(2024년 11월) → 2.5%(2025년 5월)
    • 은행 주담대 금리 4.30% → 3.98%(2025년 4월)
  • 토지거래허가제 해제(2025년 2월~3월)가 투기적 수요 증가를 부추김

최근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현황(2025년 기준):

1월2월3월4월5월
증가액(조원)△0.9+4.2+0.7+5.3+6.0

가계부채 급증세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입니다.

 

정책 주요 내용

이 정책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정책세부 내용 및 효과
① 다주택자 주담대 관리 강화- 다주택자 주택 추가구입 시 LTV 0% 적용(대출 전면 금지)-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금지
② 실거주 목적 이외 대출 제한- 주택 구매 후 6개월 내 전입의무 부여- 갭투자용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③ 주담대 한도 6억원 설정-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여 과도한 대출 방지
④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화- 명목성장률 하향 조정, 대출 증가세 고려해 가계대출 총량 목표 감축

이외에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한도를 수도권·규제지역 1억원으로 제한 또한 있습니다.   

 

과거 정부와 시장반응

현재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이재명 정부, 2025년 6월)을 과거 정부의 대표적인 부동산·금융정책과 비교하여 분석해 보겠습니다. 

구분이재명 정부(2025년)문재인 정부(2017~2022년)윤석열 정부(2022~2024년)
주요 정책 키워드대출 제한 강화, 실수요 중심, 공급 병행투기억제, 수요억제, 강력한 세금 규제대출 규제 완화, 시장 자율성 강조
대출 규제 방향📌강화📌강력하게 강화📌완화
공급 정책📌적극적 공급확대(우수 입지 집중)📌수도권 공공주택 공급 위주📌민간 중심 공급 활성화
세제 정책📌보유세·거래세 인상 안 함📌다주택자 종부세·양도세 중과📌종부세 등 세금 인하 및 부담 완화
규제 지역 지정📌필요 시 추가 지정 가능성📌지속적으로 규제 지역 지정·확대📌규제 지역 대거 해제

1️⃣ 이재명 정부 (2025~)

  • 정책목표: 가계부채 증가 완화, 실수요 중심의 안정적 시장 유지
  • 대출규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상한 6억 원 제한, 다주택자 추가 주택 구입 원천 금지(LTV 0%)
  • 공급정책: 우수 입지 중심으로 공급 확대를 병행하여 수급 불균형 완화
  • 특징 및 영향:
    • 중저가 주택 중심으로 시장 안정 유도
    • 투기적 수요 감소 유도, 특히 중고가 주택 가격 하락 가능성 높음.
    • 공급 확대 효과는 장기적으로 발현될 전망

2️⃣ 문재인 정부 (2017~2022)

  • 정책목표: 투기 근절, 집값 상승 억제, 다주택자 규제 강화
  • 대출규제:
    • LTV·DTI·DSR 규제 강력 강화, 9억 이상 주택 대출 한도 축소
    • 갭투자·전세대출 제한 강화
  • 공급정책:
    • 공공임대주택 중심 공급 확대
    • 민간 재건축·재개발 억제(분양가 상한제 등)
  • 세제정책:
    • 다주택자에 대한 종부세·양도세 중과(세금 부담 매우 높음)
  • 특징 및 영향:
    • 단기적으론 집값 상승 억제했으나, 장기적으로는 서울 등 수도권 가격 폭등 부작용 발생
    • 공급 부족·임대차 3법 등 부작용이 심화되며 정책적 논란 지속 

 

현재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강력한 대출 규제(특히 중고가 주택)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민간 공급 활성화라는 시장 친화적 접근을 병행
  • 세금 규제를 지양하고 공급과 금융 규제라는 투-트랙 전략 채택
  • 정책 효과는 단기적으론 중저가 주택 안정 및 중고가 주택 가격 하락 압력,
    장기적으로는 공급 확대를 통한 안정적 시장 형성 기대  

 

예상되는 시장 영향

단기적 영향 (2025년 하반기~2026년)

  • 중고가 주택(6억~10억 원대) 매수세 위축으로 인한 가격 하락 압력 증가
  • 갭투자 수요 급감: 전입의무 부과와 전세대출 보증비율 강화(90%→80%)로 인해 투기적 거래 급격히 감소
  • 거래량 급감 가능성: 규제 강화로 인한 매수세 감소가 단기적인 거래량 하락을 유발할 수 있음

중장기적 영향 (2027년 이후)

  • 시장 안정화 가능성: 공급 정책 활성화가 실효성을 나타낼 경우, 중장기적으로는 시장 안정화 및 균형점 회복 예상
  • 규제지역 추가 지정 가능성: 정부가 시장 상황에 따라 규제지역을 추가로 지정할 가능성이 높아, 투기 지역 집중적인 가격 조정이 예상됨
  • 가계부채 구조적 개선: 실수요자 위주 시장으로 재편될 가능성 높음.

 

상세 정책에 따른 시장영향

정책 항목예상되는 시장 영향
대출한도 6억원 제한- 6억원 초과 주택 매수 위축중고가 주택 가격 하락 압력 상승
다주택자 대출 제한- 다주택자의 신규 매수 급감 → 투자 수요 위축, 매매 거래량 감소
전입 의무 강화- 갭투자 감소 및 단기 투자자 퇴출 효과
총량 목표 감축- 전체적 대출 심리 위축, 전반적 주택 거래량 감소 및 매매가 안정화

즉, 중간 가격대(6~10억원)의 수도권 주택시장에 가장 강력한 가격 하락 압력이 예상되며, 투기적 목적의 갭투자와 다주택자의 거래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외  자금 이동 가능성 분석

1. 주식 시장으로의 자금 이동 가능성

  • 유동성 증가: 부동산 시장에서 위축된 투자금이 다른 투자처를 찾으면서 주식시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부동산에서 이탈한 단기성 자금은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증가시킬 가능성도 높습니다.

2.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자금 이동 가능성

  • 투자심리 및 투기적 수요 증가: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몰릴 가능성이 큽니다.
  • 가격 변동성 증가: 유입된 유동성이 암호화폐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어비스픽

https://vrepor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