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성공적 투자를 위하여 어비스가 제공해드리는 특별한 소식들을 만나보세요.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 사야할까?
2025.06.23
현재 어비스 픽 - 키워드에서 스테이블 코인이 키워딩 되고 있는데 그렇다면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5.06.23 기준)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가격 변동성이 매우 낮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USD)나 금, 기타 자산에 고정(페깅, pegging)되어 있어, 비트코인·이더리움 등의 고변동성 자산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실생활 결제, 송금, 디파이(DeFi), 거래소 간 자금 이동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현재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요한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분석
✅ 1. 스테이블 코인의 주요 분류
유형 | 설명 | 대표 예시 |
---|---|---|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 실제 달러 등의 법정통화 예치 → 1:1 발행 | USDT, USDC, BUSD |
암호자산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 이더리움 등 암호자산 예치 → 과잉 담보 구조 | DAI, sUSD |
알고리즘 기반 (Algorithmic) | 담보 없이 알고리즘으로 공급량 조절 | FRAX (혼합형), UST(실패 사례) |
실물 자산 기반 (Real Asset-Backed) | 금, 국채, 부동산 등 실물 자산에 연동 | PAXG (금), ONDO (미국 국채) |
✅ 2. 각 유형의 원리와 특징
🟩 ① 법정화폐 담보형
- 원리: 발행사는 달러 등의 법정통화를 실제 은행 계좌에 보유 → 사용자에게 1:1 비율로 스테이블 코인 발행
- 장점: 변동성 매우 낮고, 구조가 단순하여 이해하기 쉬움
- 단점: 신뢰 기반(발행사의 투명성 필요), 중앙화 위험
📌 예시
- USDT (Tether): 가장 오래된 스테이블 코인.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의 상당수를 차지함. 다만, 준비금 투명성 논란 존재
- USDC (Circle): 미국 규제에 친화적. 회계법인 감사 등으로 투명성 강조
🟨 ② 암호자산 담보형
- 원리: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기고, 거기에 비례해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 과잉담보 구조: 담보 자산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150% 이상 담보 요구
- 장점: 탈중앙화,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으로 작동
- 단점: 암호자산 하락 시 담보 부족 → 자동 청산 위험
📌 예시
- DAI (MakerDAO): ETH, USDC 등을 담보로 발행. 탈중앙화 디파이 생태계의 핵심
- sUSD (Synthetix): SNX를 담보로 발행, 탈중앙 파생상품 연계
🟥 ③ 알고리즘 기반
- 원리: 수요에 따라 자동으로 스테이블 코인 공급량 조절 (디플레이션/인플레이션)
- 장점: 탈중앙성 극대화, 담보 없이 작동 가능
- 단점: 수요 급감 시 붕괴 위험 큼. 시장 신뢰에 강하게 의존
📌 실패 사례
- TerraUSD(UST): 루나(LUNA)와 쌍을 이루며 알고리즘으로 1달러 고정 유지 시도.
→ 2022년 5월 붕괴 (약 40조원 증발), 스테이블 코인 신뢰성 전반에 큰 충격
📌 실험적 혼합형
- FRAX: USDC 담보 + 알고리즘 병행 구조
✅ 3. 시장 점유율 (2025년 기준)
- USDT: 시가총액 약 1100억 달러로 1위
- USDC: 약 320억 달러
- DAI: 약 50억 달러
- 기타: FDUSD, TUSD, GHO, EURC 등도 존재
여기서 USDC는 Circle이 미국 달러와 1:1로 고정하여 발행한 대표적인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 발행사: Circle Internet Financial Ltd.
- 공동 운영사(초기): Coinbase (현재는 Circle이 주도적 역할)
- 출시일: 2018년 9월
- 운영 체인: Ethereum, Solana, Avalanche 등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지원
✅ 4. 주요 활용처
사용처 | 설명 |
---|---|
거래소 간 자금 이체 | 암호화폐 간 거래에서 교환 통화로 활용 (ex. BTC/USDT) |
디파이(DeFi) | 스테이킹, 대출, 스왑 등에서 기준 통화로 쓰임 |
해외 송금 | 빠르고 저렴한 수수료의 대안 수단으로 사용 |
헤지 수단 | 암호화폐 시장 급변동 시 자산 보존 수단 |
✅ 5. 규제와 리스크
📌 리스크
- 발행사 불투명성: 실제 준비금 부족 위험
- 디페깅 위험: 1달러와의 괴리 발생 시 투자자 불안
- 중앙화 의존성: USDT, USDC는 규제·검열 가능성 있음
- 디파이 청산 위험: 암호자산 담보 기반의 자동 청산 리스크
📌 규제 동향
- 미국: 스테이블 코인 규제 법안 논의 활발 (FED 감시 논의 등)
- EU: MiCA 규제 통해 스테이블 코인 발행 조건 명시
- 한국: 금융위가 전자금융거래법을 기반으로 '토큰 증권'·스테이블 코인 관련 규제 검토 중
✅ 6. 향후 전망
-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등장과 경쟁 예상
- 국채·MMF 연동형 스테이블 코인 성장 (ex. ONDO, USDY 등)
- 기관 수요 증가: 결제, 국경 간 송금, 실시간 결제 API에 활용
-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성 확대: 여러 체인에서 동일 자산 사용
스테이블코인 관련 최신뉴스
다음은 최근 스테이블 코인을 둘러싼 최신 뉴스 요약입니다.
1. 미 상원, ‘GENIUS Act’ 통과
- 6월 17일, 미국 상원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최초의 연방 규제 법안인 GENIUS Act를 통과시켰습니다. 법안은 상하원 양당 지지로 68대 30 표결로 가결돼 하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요건:
- 1:1로 법정화폐나 단기 미국채 등 유동 자산 담보
- 발행사는 매월 준비금 구성 공개 의무
- $100억 이상 발행사는 연간 감사를 추가로 제출 (businessinsider.com).
2. 시장 반응 및 기업 영향
-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주가는 17% 급등하며 $297.44 기록 (markets.businessinsider.com).
- 발행사인 Circle(USDC) 주가도 27% 상승, 시가총액 $328억을 돌파 (marketwatch.com).
3. CRCL 서클
✅ 최근 주가 동향
- 최근 GENIUS Act 상원 통과 소식에 힘입어 CRCL 주가는 큰 폭으로 상승 중입니다.
- 6월 18일: +27% 급등, 종가 $190.03, 시가총액 약 $328억 investors.com+12marketwatch.com+12investopedia.com+12
- 6월 20일: 추가로 +7% 상승하며 거의 $200 근처 형성 investopedia.com
- 6월 16일: +13% 급등. 같은 시기 종합적으로 +33% 단기 랠리 investopedia.com+14fastcompany.com+14investopedia.com+14
📊 핵심 수치
- IPO(6월 5일) 가격: $31
- 데뷔일 종가: $83.23 (168% 증가) investopedia.com+10investopedia.com+10investopedia.com+10
- 최근 주가 범위: $190–$240
- 전일 종가: $240.28 stockanalysis.com
⚠️ 주요 리스크 요인
- 밸류에이션 부담
- 단기간에 IPO가 대비 7배 급등 → 과열 경고 investopedia.com+3seekingalpha.com+3investopedia.com+3
- 규제 결과에 따른 변동성
- 법안이 하원·대통령까지 통과 여부 불투명. 실패 시 반등 일부 반납 가능성
- 경쟁 강화
- Tether·Big Tech 진입 예고, 규제 통과 후 투명성·마진 압박 가능
3. 금융시장 영향
- BIS와 시카고연준 등은 단기 국채 수요 증가가 국채 수익률 하락과 재무 전략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 .
4. 규제·정책 논의
- GENIUS Act는 AML(자금세탁방지), FTF(테러자금조달방지), 그리고 파산 시 코인 보유자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규제 체계를 수립
- 일부 민주당·의회 인사들은 Big Tech의 시장 진출, AML 미흡, 금융안정 위협 우려를 제기